[3장] 고조선의 건국과 단군 신화

고조선의 건국과 단군 신화

서문

고조선(古朝鮮)은 단군왕검이 세운 한반도 최초의 고대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조선은 청동기 문명을 기반으로 한 현 중국 랴오닝성 및 북한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강원도에 있던 고대 국가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조선에 대한 기록은 적고 추상적이며, 직접적으로 고조선의 것이라 암시되는 유물·유적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고조선의 연대와 강역·역사·문화 등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습니다. 고조선의 건국은 단군이라는 인물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건국 연도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의해 기원전 2333년으로 전해집니다. 그러나 현대 사학계에서는 실제 고조선의 건국 연대가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국사 교과서는 고조선의 강역으로 추측되는 랴오닝성 및 한반도의 고고학 발굴 결과를 토대로 기원전 2000년경에서 기원전 1500년경에 청동기 시대가 본격화된다고 서술하고 있습니다. 고조선의 건국은 단군 신화를 통해 이해되는데, 이는 청동기 문명을 가진 외래 세력과 토착 세력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조선이란 명칭의 유래

고조선이란 명칭은 『삼국유사』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고조선이라는 명칭은 20세기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고조선은 조선의 고대 역사를 뜻하는 것이 아니며, 농경과 금속기의 사용이 진전된 이후부터 고조선의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고조선의 역사에 대한 가장 이른 기록은 『산해경』과 『관자』에 나와있으며, 이를 통해 고조선이 서기전 4세기 중반에는 북중국 지역 사람들에게 뚜렷하게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조선에 대한 자료는 주로 위만조선에 관한 것이며, 고조선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고학적 자료에 의존해야 합니다.

한국의 유네스코 등재 문화유산

한국은 유네스코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문화유산이 7건으로 한국보다 많은 나라는 18개국 정도입니다. 유네스코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한국이 등재한 4건보다 많은 나라는 독일, 러시아, 오스트리아, 폴란드 4개국뿐입니다. 세계무형유산에 있어서는 한국의 위치가 더욱 빛나고 있습니다. 한국은 판소리와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등재시켰습니다. 유네스코에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된 것은 한국이 등재한 2건보다 많은 나라는 하나도 없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은 세계 수준의 문화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을 보호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책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외국인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유네스코에 등재된 14점의 문화유산, 기록유산, 무형유산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해 수준이 향상되고,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고인돌 – 한국의 거석문화의 상징

첫번째 세계문화유산인 “고인돌”은 한국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고인돌로,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무덤으로, 거대한 돌을 이용한 구조물입니다. 한국의 고인돌은 거의 국토 전역에 걸쳐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서해 및 남해의 연해지역과 큰 하천의 유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고창 고인돌유적은 한국에서 가장 큰 고인돌 군집을 이루고 있으며, 강화 고인돌유적에는 한국 최대의 북방식 고인돌이 있습니다. 고인돌은 한 지역에 다수가 발견되어 지배계급 또는 그에 상응하는 정치적, 경제적 능력을 가진 자들의 공동묘지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고인돌은 한국의 거석문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고조선의 건국과 단군 신화는 한국 역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고조선은 단군왕검에 의해 세워진 최초의 고대 국가로 알려져 있으며, 단군 신화를 통해 고조선의 건국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고조선의 연대와 강역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지만, 청동기 문명과 외래 세력과의 결합을 통해 고조선은 발전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화유산과 기록유산, 무형유산을 보유하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고인돌은 한국의 거석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매력과 역사적인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고인돌
출처: Megan Mulleady

다른 글 보기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별을 클릭해서 평가해 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0

아직 투표가 없습니다! 이 게시물을 평가하는 첫 번째 사람이 되세요.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